일상/경제뉴스
[경제뉴스] 250217 경제뉴스 요약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삐누아빠
2025. 2. 17. 10:50
요약
1. 국내 금값, 국제 시세보다 20% 비싸다... 왜 이런 현상이?
국내 투자자들의 금 수요 증가, 차익거래 어려움으로 인해 국제 시세보다 높은 금값 유지 가능
2. 트럼프 압박에 TSMC, 인텔 투자 검토...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은?
미국과 대만의 반도체 동맹이 삼성전자의 시장 점유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3. 미국, ‘금란(金卵)’ 시대… 달걀값폭등에가정에서직접키운다?
AI 확산에 따른 공급 부족, 가정에서 닭을 키우는 트렌드 확산
4. 해피머니상품권, 10만원권이 8천원만보상?
M&A 추진 여부에 따라 소비자 보상 규모가 달라질 가능성 존재
1. 국내 금값, 국제 시세보다 20% 비싸다… 왜 이런 현상이?
최근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20%나 더 비싼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지난 금요일 KRX 금시장에서 금 1g 가격은 약 16만2천 원으로 마감되었는데, 같은 시각 런던귀금속거래소(LBMA)에서 거래된 국제 금 가격은 13만5천 원 수준에 이름.
- 국내에서 금 매수가 급증한 이유?
- 골드뱅킹과 금 ETF 투자 증가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의 골드뱅킹 잔액이 최근 9천억 원에 육박하며, 한 달 만에 1천억 원 이상 증가
- 금 ETF 자산 규모도 작년 말 6천억 원에서 1조 원을 돌파하며 폭발적인 성장
- 실물 금 수요 증가
- 국내에서 금을 찾는 수요가 급증하면서 일부 골드바 품절 사태 발생
- 골드뱅킹과 금 ETF 투자 증가
- 차익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국제 금 시세보다 국내 금값이 크게 오르면, 해외에서 금을 사서 국내에서 팔면 차익을 볼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음.- 해외에서 금을 수입하면 운송비, 관세, 부가세 10%가 붙기 때문에 차익거래가 불가능
-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해외 금 선물 시장 참여가 저조해 가격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음
- 세계적인 금 수요 증가도 영향
-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 매입을 늘리면서 금값 상승
- 미국이 러시아의 달러 자산을 동결한 이후,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금 매입 증가
- 트럼프 행정부가 금에도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미국 금융사들이 런던에 보관하던 금을 미국으로 옮기고 있음
- 이로 인해 금 실물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금값이 더 오르는 현상 발생
2. 트럼프 압박에 TSMC, 인텔 투자 검토…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에 인텔 투자를 제안했고, 이에 대한 검토가 시작
- 왜 TSMC가 인텔을 돕나?
인텔은 최근 수년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부진으로 70조 원의 부채를 안고 있고, 구조조정까지 단행한 상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를 목표로 인텔을 지원하고 있으며,
- 인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TSMC가 인수를 검토하게 된 상황
- TSMC의 고민… ‘트럼프의 압박’ 때문?
TSMC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점유율 64%를 차지하며 삼성전자(10%)와 격차를 크게 벌리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으로 오길 원한다"며 상호관세 적용 가능성을 시사
- 만약 TSMC가 미국의 요구를 거부할 경우, 반도체 관세 부과 및 보복조치 가능성 우려
- 주주(72%가 외국인)의 반발로 내부 갈등도 존재
-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은?
- 미국과 대만 간 ‘실리콘 동맹’이 강화되면, 삼성전자가 미국 기업으로부터 반도체 주문을 받을 기회가 줄어들 가능성
- 미국이 삼성전자에도 메모리 반도체 생산 확대를 요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추가 투자 부담 증가
3. 미국, ‘금란(金卵)’ 시대… 달걀값 폭등에 가정에서 직접 키운다?
미국에서 달걀값이 폭등하면서, 닭을 직접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현재 미국 달걀 가격 상황
- 평균 12개들이 달걀 가격이 5달러(약 8천 원) 수준
-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12개에 1만5천 원까지 가격 상승
- ‘에그플레이션(Egg+Inflation)’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
- 왜 달걀값이 급등했나?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 2022년 이후 1억5천만 마리의 가금류가 피해를 봄
- 2023년 12월에만 1,300만 마리, 올해 2천만 마리 이상 살처분
- 공급 부족으로 일부 매장은 달걀 구매 제한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 닭을 직접 키우는 가구 증가
- 현재 1,100만 가구가 닭을 기르는 중, 2018년 대비 2배 증가
- ‘암탉 렌탈 서비스’까지 등장
- 반려동물 인기 순위 3위에 오를 정도로 미국인들의 관심 증가
4. 해피머니 상품권, 10만 원권이 8천 원만 보상?
티몬(TMON)의 부도 사태로 사용이 중단된 해피머니 상품권이 법원의 회생 절차를 밟고 있으며, 현재 보상 비율이 8% 수준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
- 해피머니 상품권 사용 중단 사태 배경
- 해피머니 발행사인 해피머니아이엔씨가 법원에서 회생 절차 진행 중
- 부채 2,000억 원에 비해 청산가치는 170억 원에 불과
- 상품권 보유자들의 손실 규모
- 10만 원권 상품권을 보유해도 8천 원만 보상받을 가능성
- 해피머니 상품권 243억 원 규모의 채권이 회수될 가능성이 낮음
- M&A(기업 인수·합병) 추진 가능성
- 새 주인이 나타나면 상황이 나아질 수도 있지만,
- 인수자가 없으면 상품권 보유자들은 8%밖에 보상받지 못할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