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1. 중국, 기업 규제 대거 철폐... '한한령 해제' 기대감
중국의 한한령이 해제되면 엔터테인먼트, 게임, 콘텐츠 업계등의 반사이익 기대
2. 트럼프 "자동차·반도체 관세, 한 달 내 발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업계등의 대응이 필요
3. 정책대출 증가로 하반기 은행 대출 문턱 높아질 듯
하반기 대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에 따라 부동산, 가계 대출의 영향도 주목 필요
4. 정부, 8년 만에 중장기 국가 전략 발표
정년 연장, 연금 개편, 퇴직연금 의무화 검토
1. 중국, 기업 규제 대거 철폐… '한한령 해제' 기대감
중국이 한국 콘텐츠의 중국 진출을 막았던 '한한령'을 해제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 한한령(限韓令)이란?
- 2016년 한국의 사드(THAAD) 배치 이후, 중국이 한국 드라마·영화·가요 등 한류 콘텐츠를 금지한 조치
-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입 불허, 한류 스타 출연 금지, 한국 기업 광고 제한 등의 강력한 규제
- 한한령 해제 가능성, 왜 나오는 걸까?
- 이달 초, 우원식 국회의장이 시진핑 주석을 만나 한한령 해제를 요청
- 시진핑: "문화 교류는 중요하다.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
- 중국 당국 고위 관계자: "올 상반기 내 한한령을 완전히 해제할 계획"
- 5월부터 한국 드라마·게임·가수 공연 등의 중국 진출 전면 허용 예상
- 중국이 한한령을 해제하려는 이유
-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방한 가능성 → 한중 관계 개선 필요
- 최근 중국 경제 침체 → 해외 투자 유치 및 외국 기업과 협력 강화 필요
- 미국과의 무역·관세 갈등 심화 → 미국 우방국들과의 관계 개선 전략
- 2025년 APEC 주최국인 중국, 글로벌 협력 분위기 조성
- 한한령 해제, 한국 콘텐츠 업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문화 콘텐츠 시장 규모: 2,570조 원 (2023년 기준)
- 한국 엔터·게임·드라마 업계, 중국 시장 재진출 기대
- 최근 엔터·콘텐츠 관련 주식 급등 → 투자자 기대감 반영
- 다만, 중국 경제 부진과 숏폼 콘텐츠 선호 증가로 과거만큼의 효과는 미지수
2. 트럼프 "자동차·반도체 관세, 한 달 내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시사
-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반도체·의약품 관세 25% 검토
- 4월 초 공식 발표 예정
-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정도 될 것 같다" → 업계 예상보다 높은 수치
- 한국 자동차 업계에 미칠 영향
- 2024년 미국 자동차 수출액: 347억 달러(약 50조 원)
- 25% 관세 부과 시 연간 64억 달러(약 9조 원) 수출 감소 예상
- 미국 수출 비중 높은 현대·기아차에 직격탄 가능성
- 트럼프의 전략: "미국 내 공장 지어라"
- 트럼프: "외국 자동차 회사들은 미국에서 생산해야 관세가 없다"
- 일본·독일 자동차 업체들은 이미 미국 내 생산 확대 논의
- 한국 자동차 업계도 미국 내 공장 확대 압박 가능성
- 반도체·의약품도 25% 관세 대상?
- 반도체: 미국은 설계 강국이지만 생산(파운드리)은 대만·한국 의존
- 의약품: 미국 제약사(화이자·모더나)도 중국·인도 원료 의존
-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제조업도 미국 내 유치 추진 가능성
- 한국 정부와 기업의 대응 방안
- 미국과 협상 시 LNG(액화천연가스) 추가 구매 카드 활용 가능성
- 조선·방위산업·원자력·바이오 분야 협력 확대 방안 논의 필요
- 현대·기아차, 미국 내 생산 확대 시 국내 일자리 감소 우려
3. 정책대출 증가로 하반기 은행 대출 문턱 높아질 듯
올해 하반기, 은행 대출 규제가 더 강화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 정책대출 증가로 가계대출 한도 압박
- 정부, 지방 건설경기 부양 위해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 확대
- 정책대출이 증가하면 일반 대출 한도 감소 → 은행 대출금리 상승 가능성
- 하반기 대출 규제 강화 예상
- 기준금리 인하 기대에도 대출금리는 오를 가능성 높음
- 은행의 대출 취급 가능 금액 제한 → 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문턱 상승
4. 정부, 8년 만에 중장기 국가 전략 발표
정부가 고령화·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장기 국가 전략을 발표
- 정년 연장·폐지 검토
- 수명 연장에 맞춰 법정 정년 조정 논의
- 복지혜택·국민연금·고용보험 적용 연령 상향 검토
- 국민연금 개편 방향: 부분 연금제 도입 검토
- 현재 최대 5년 조기수령 가능 → 부분 연금제 도입 시 유연한 수령 가능
-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
- 기업이 퇴직연금 운영 시 자금 부담 발생 → 단계적 시행 검토
'일상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24 경제요약 : 중국 AI 투자 확대, 서울시 용적이양제 도입, 필리핀 가사관리사 연장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3) | 2025.02.24 |
---|---|
[경제뉴스] 250221 중국산 후판 반덤핑관세, CET1 비율 하락, 금값 김치프리미엄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0) | 2025.02.21 |
[경제뉴스] 250219 경제뉴스 요약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1) | 2025.02.19 |
[경제뉴스] 250218 경제뉴스 요약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3) | 2025.02.18 |
[경제뉴스] 250217 경제뉴스 요약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4)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