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경제뉴스

[경제뉴스] 250221 중국산 후판 반덤핑관세, CET1 비율 하락, 금값 김치프리미엄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삐누아빠 2025. 2. 21. 15:29


요약

 

1. 정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 부과 : 최대 38%

 

2. 환율 상승으로 은행의 CET1 비율 하락 : 배당 축소 우려

 

3. 김치 프리미엄 붙은 금값 : 은행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

 


 

1. 정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 부과: 최대 38%

한국 정부가 중국산 후판(두꺼운 철판)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중국산 후판이 가격을 낮게 책정하여 한국 제철업체들의 경쟁력을 위협한 결과입니다. 후판은 주로 배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한국의 조선업체들이 중요한 소재로 활용합니다.

반덤핑 관세란?

반덤핑 관세는 특정 국가에서 가격을 비정상적으로 낮게 수출하여 국내 산업에 피해를 주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복 성격의 세금입니다. 중국산 후판은 10년 전 한중 FTA 체결 이후 관세가 없었지만, 현재 국내 철강사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판단 하에 최대 38%의 높은 관세가 부과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중국산 후판의 가격 경쟁력

중국산 후판은 톤당 약 78만 5천 원, 한국산 후판은 톤당 90만 원으로, 중국산이 약 12% 더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가격 차이는 지난해 20% 이상이었으나, 올해 들어 차이가 줄어든 상태입니다.

이번 결정의 영향

이 결정은 한국의 주요 조선업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후판은 배 제작에 중요한 재료로, 중형 조선사들은 전체 후판의 50% 이상을 중국산으로 조달하기도 합니다. 가격 인상이 이뤄지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 철강업체들에게는 중국산 후판과의 가격 격차가 줄어들면서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철강사들의 주가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2. 환율 상승으로 은행의 CET1 비율 하락: 배당 축소 우려

최근 환율 상승으로 은행들의 CET1 비율이 낮아졌습니다. CET1(Common Equity Tier 1)은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위험가중자산 대비 실질 자본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CET1 비율이 낮아지면, 배당금 지급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CET1 비율의 의미

CET1 비율은 은행의 자본이 얼마나 충분한지 나타내며,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본금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합니다. 이 비율이 낮아지면 은행의 재정 건전성이 약해진 것으로 간주되며, 그에 따라 배당금 지급도 줄어들게 됩니다.

환율 상승의 영향

환율 상승이 CET1 비율에 영향을 미친 이유는 위험자산의 증가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달러로 투자된 자산이 원화로 환산되면 금액이 증가하면서 위험가중자산이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CET1 비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지난해 환율이 100원 이상 상승하면서, 은행들의 CET1 비율이 약 0.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당 축소 우려

CET1 비율이 낮아지면, 은행은 배당금 지급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KB금융신한금융 등 주요 은행들의 CET1 비율이 12%로 낮아지면서 배당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주에 투자한 주주들은 배당금 축소에 대한 우려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3. 김치 프리미엄 붙은 금값: 은행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 가능?

최근 국내 금 시세에 '김치 프리미엄'이 붙으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은행에서 금을 사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국내 금 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7~9% 더 높게 형성되었고, 민간 금 유통업체에서는 그 차이가 17% 이상 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행에서 구매하는 금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금값의 차이

국내 금 시세는 KRX 금시장 시세와 민간 유통업체 시세가 서로 달라, 시세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1kg 골드바100g 골드바는 가격 차이가 있으며, 1kg 골드바가 더 유동성이 많아 국제 금 시세에 근접한 가격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100g 골드바는 거래가 적어 가격 차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은행 금 판매의 장점

은행에서 금을 구매할 때국제 시세에 기반하여 가격을 정하므로, 국내 시세가 상승한 경우에도 은행 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은 금을 국제 시세에 맞추어 판매하므로, '김치 프리미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은행 금 구매의 유리함

현재 국내 금 시세가 국제 금 시세보다 높은 상황에서, 은행 금더 저렴하게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은행에서 골드바를 구매하거나 금통장을 이용하면,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